3.1절, 광양 망덕포구 푸른 하늘에 그려보는 윤동주시인 윤동주 부활시킨 정병욱 가옥에서 일제에 저항한 詩 정신과 우정 되새겨
광양시가 다가오는 103돌 3.1절을 맞아 망덕포구의 정병욱 가옥을 방문해 일제에 저항한 민족시인 윤동주의 시 정신을 가슴 깊이 새겨 볼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광양시 진월면 망덕포구에는 일제 침탈의 비극에 고뇌하며, 순결한 시어로 일제의 심장을 겨눈 윤동주의 육필시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지켜낸 오래된 가옥이 있다.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이라는 명칭으로 제341호 등록문화재에 등록된 이 가옥에는 나라 잃은 비극이 빚은 고결하고 가슴 시린 이야기가 배어있다.
윤동주는 1941년 연희전문 졸업 기념으로 시집 출간을 꿈꾸며, 친필로 쓴 19편의 시를‘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묶어, 손수 3부를 제본해 이양하 지도교수와 평소 아끼던 후배 정병욱에게 준다.
안타깝게도 시대적 상황으로 끝내 시집 출간은 좌절되고, 일본 유학 중 독립운동 혐의로 수감된 윤동주는 광복을 6개월 앞둔 1945년 2월 16일 차디찬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숨을 거둔다.
윤동주가 검거된 후, 학도병으로 끌려가게 된 정병욱은 윤동주의 친필시고를 광양의 어머니에게 맡기고, 어머니는 시집을 명주 보자기에 곱게 싸 가옥 마루 밑 항아리 속에 숨겨 삼엄한 감시를 피한다.
윤동주와 이양하 교수가 갖고 있던 시고는 행방을 잃었지만, 망덕포구 정병욱 가옥에서 살아남은 시고는 광복 후, 1948년 1월 30일 유고집으로 출간되어 윤동주를 시인으로 소환한다.
550리를 달려온 섬진강을 너른 품으로 안는 망덕포구는 생전에 시인으로 불리지 못하고 이역의 차디찬 형무소에서 삶을 마감한 윤동주를 품어 시인으로 재탄생시킨 부활의 공간이다.
정병욱 가옥에서 포구를 따라 걸어가면 윤동주의 발자취를 더듬어볼 수 있는 ‘윤동주 쉼터’와 31편의 시비가 세워진 ‘윤동주 시 정원’에 다다른다.
북간도에서 태어난 윤동주는 단 한 번도 광양 땅을 밟은 적이 없지만, 시대의 고통을 승화시킨 그의 시를 소중하게 지켜낸 윤동주의 또 하나의 고향이다.
지난해 개통된 배알도 섬 정원과 망덕포구를 잇는 해상보도교 이름으로 그의 시 ‘별 헤는 다리’가 붙여질 만큼 광양에서 그의 존재감은 크고 고귀하다.
민족의 숭고한 자주독립정신을 기념하는 3.1절에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면서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했던 성찰의 시인 윤동주를 기리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윤동주의 시를 간직해 세상에 알려준 것을 평생의 보람과 자랑으로 여긴 정병욱이 윤동주의 시 ‘흰 그림자’를 의미하는 ‘백영(白影)’을 자신의 호로 삼은, 우정의 뜻도 되새겨볼 만하다.
김성수 관광과장은 “윤동주는 후쿠오카 차디찬 감옥에서 짧은 생애를 마감했지만, 이곳 광양에서 시인으로 부활해 영원히 지지 않는 별을 노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동주 유고 시집에 수록된 31편의 시가 곱게 새겨져 있는 ‘윤동주 시 정원’과 ‘별 헤는 다리’를 거닐며 망덕포구 푸른 하늘에 윤동주를 그려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핫타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지역뉴스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