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타임뉴스

문화재청, 휴대용 해시계‘일영원구(日影圓球)’공개

지난 3월 미국 경매를 통해 환수 / 8.19.~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에서 일반 공개

진용철 미디어국장 | 기사입력 2022/08/18 [15:05]

문화재청, 휴대용 해시계‘일영원구(日影圓球)’공개

지난 3월 미국 경매를 통해 환수 / 8.19.~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에서 일반 공개
진용철 미디어국장 | 입력 : 2022/08/18 [15:05]

문화재청은 지난 3월 미국 경매를 통해 매입한《일영원구(日影圓球)》를 8월 18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에서 언론에 공개하고, 기존에 열리고 있던 환수문화재 특별전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7.7~9.25)’을 통해 19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

 

‘일영원구’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바 없는 희귀 유물로, 국외 반출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당초 소장자이던 일본 주둔 미군장교의 사망 이후 유족으로부터 유물을 입수한 개인 소장가가 경매에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사무총장 김계식)은 작년 말 해당 유물의 경매 출품 정보를 입수한 이후 면밀한 조사와 문헌 검토 등을 거쳐 지난 3월 미국의 한 경매에서 이 유물을 낙찰 받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형(球形)의 휴대용 해시계라는 점, ▲ 전통 과학기술의 계승·발전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점, ▲ 명문과 낙관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과학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먼저, 반구(半球)의 형태로 태양의 그림자를 통해 시계를 확인하는 영침(影針)이 고정되어 있어 오로지 한 지역에서만 시간을 측정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와 달리, ‘일영원구’는 둥근 공 모양인 원구(圓球)의 형태로 두 개의 반구가 맞물려 각종 장치를 조정하면서,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당시 과학기술의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전문가 검토에 따르면 ‘일영원구’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 먼저 다림줄로 수평을 맞추고, ▲ 나침반으로 방위를 측정하여 북쪽을 향하게 한 후, ▲ 위도조절장치(추정)를 통해 위도를 조정한 뒤, ▲횡량에 비추는 태양의 그림자가 홈 속으로 들어가게 하여 현재의 시간을 알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한쪽 반구에는 12지(十二支)의 명문과 96칸의 세로선으로 시각을 표시하였는데, 이는 하루를 12시 96각(刻, 15분)으로 표기한 조선 후기의 시각법을 따른 것이다. 또한 정오(正午) 표시 아래에는 둥근 구멍(시보창[時報窓
  • 도배방지 이미지

공연·전시 관련기사목록
경기뉴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