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타임뉴스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 몽촌토성 집수지, 2020년 이후 연속 네 번째 쟁기 출토

동아시아 최초, 삼국시대 목제쟁기 연속 4회 출토

차영례기자 | 기사입력 2024/07/03 [14:52]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 몽촌토성 집수지, 2020년 이후 연속 네 번째 쟁기 출토

동아시아 최초, 삼국시대 목제쟁기 연속 4회 출토
차영례기자 | 입력 : 2024/07/03 [14:52]

▲ 몽촌토성 집수지 4호 쟁기 출토 지점


[핫타임뉴스=차영례기자] 한성백제박물관은 몽촌토성 집수지에서 네 번째 삼국시대 목제쟁기를 출토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토된 목제쟁기는 지난 2020년 이후 네 번째 발견된 쟁기로서 동아시아사상 최초이자 최다 수량의 출토 사례다.

한성백제박물관은 ‘2천년 역사도시 서울’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를 추진중이다. 2013년부터는 몽촌토성(백제 왕성) 일대의 학술발굴조사를 시작했고, 2015년부터는 석촌동 고분군(백제 왕릉지구)까지 범위를 넓혀 계속해서 조사를 이어오고 있다.

전 세계 쟁기 발굴 사례 중에서는 몽촌토성과 같은 시기의 쟁기로 확인되는 중국의 쟁기가 있으나, 이는 제대로 된 실물 자료가 거의 없고 화상석으로만 그 전모가 확인되고 있다. 쟁기가 동아시아에서 먼저 발달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거의 완벽하게 출토된 이번 몽촌토성 쟁기는 세계 최초의 사례에 가깝다.

이번에 목제쟁기가 발견된 몽촌토성 집수지는 1,500~1,600년 전 사람들의 ‘물탱크’ 역할을 했던 시설이다. 성내의 용수(用水) 확보 및 식수(食水) 보관을 목적으로 지어졌다.

이번에 출토된 4호 쟁기는 술 부분이 지면과 평행하게 뻗은 ‘눕쟁기’로 추정된다. 눕쟁기는 논과 밭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2022년 출토된 쟁기가 밭농사에만 사용되는 ‘가대기’였던 것과 상반된다. 또한 쟁기 이외에 쟁기의 손잡이 부분 아래에서 새끼줄도 발견됐다.

함께 발견된 새끼줄은 작년(2023년)에 출토된 3호 쟁기에 연결되어 있던 ‘탕개줄(서로 다른 부분을 연결하기 위해 단단하게 비틀어 죄어 놓은 줄)’과 같은 성격으로 추정된다.

4호 쟁기는 정교하게 제작된 ‘자부지’가 눈에 띈다. 전체적으로 공을 들여 다듬고 특히 끝을 둥근 형태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쟁기 본연의 기능 외에도 다른 부분의 제작에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보아 당시 농기구가 단순한 도구 이상의 의미를 지녔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한편, 이번 4호 쟁기의 경우 손잡이가 양쪽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양쪽 손잡이는 좌우로 조정을 하며 보습을 통해서 갈아낸 흙을 원하는 방향으로 넘길 수 있었다. 이로써 몽촌토성 집수지는 손잡이가 한쪽에 있는 쟁기와 양쪽에 있는 쟁기, 두 가지 형태의 쟁기 모두를 출토한 역사적인 사례를 기록하게 됐다.

몽촌토성 집수지에서 출토된 네 점의 쟁기는 아직 보습날은 출토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쟁기의 형태를 통해 고대 쟁기의 전체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동시에 구체적인 사용 방법, 삼국시대의 농경 방식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삼국시대의 쟁기는 대표적인 농기구로 크기가 제일 크다. 당시의 농기구는 개인 소유가 아닌 마을 혹은 지역단위에서 관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귀하게 여긴 목제품을 버릴 때는 태우기보다는 자연적으로 유실되도록 했다. 비슷한 맥락으로 몽촌토성 집수지에서 빗이 여러 점 출토되는 상황과도 연관 지어 볼 수 있다. 사람의 신체와 접촉한 물건을 태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버렸던 것이다.

당시 쟁기는 제작에 있어 최고의 기술이 필요한 중요한 연장이었기에, 집수지에서 여러 점의 쟁기가 출토되는 것은 단순히 집수지에 쟁기를 폐기한 것이 아닌 쟁기를 통해 풍요를 기원했던 의미와도 연관 지을 수 있다. 또한 몽촌토성 집수지에서만 네 점의 쟁기가 출토된 것은 몽촌토성 일대의 경제적 풍요를 유추해 볼 수 있고, 이 일대에서 몽촌토성이 가졌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증거로도 볼 수 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출토된 네 점의 쟁기를 각종 첨단기기를 이용해 유기물 분석, 방사성탄소연대분석 등 자연과학적 분석에 나선다. 이를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김지연 한성백제박물관장은 “이번 4호 쟁기 출토로 몽촌토성 집수지는 동아시아 최초이자 최대수량의 연속 출토 성과를 기록하게 됐다”며 “한성백제박물관은 앞으로 출토된 쟁기에 관한 다양한 학제간 융합연구를 시행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들에게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차영례기자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스스로 부단히 채찍질하겠습니다.
정도를 벗어나지 않는 참 언론의 모습을 지켜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경천뉴스는 독자와 늘 같이 호흡하고 고민하는 친구가 될 것을 약속 드립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기뉴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