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타임뉴스

서울공예박물관, 한국근대공예의 뿌리 '공업전습소·중앙시험소' 사료집 발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공예 교육 및 시험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교육기관의 의의 조명

이경자기자 | 기사입력 2024/09/13 [09:46]

서울공예박물관, 한국근대공예의 뿌리 '공업전습소·중앙시험소' 사료집 발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공예 교육 및 시험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교육기관의 의의 조명
이경자기자 | 입력 : 2024/09/13 [09:46]

▲ '공업전습소‧중앙시험소 1,2,3' 책


[핫타임뉴스=이경자기자] 서울공예박물관은 2년간의 사료조사를 통해 근대공예 사료시리즈 '공업전습소와 중앙시험소 1·2·3'을 발간했다. 이 책은 한국 공예의 태동기인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에 우리 공예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했던 한국 최초의 기술교육기관 ‘공업전습소’와 ‘중앙시험소’에 대한 국내 최초의 종합 사료집이다.

‘공업전습소’는 대한제국(1897~1910)이 1907년 오늘날 대학로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구 서울대학교 문리대) 부지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공예교육기관으로 염직, 도기, 금공, 목공 등 6개 과를 운영했다.

1912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설립된 ‘중앙시험소’는 일제강점기 유일한 공업과 공예기술 조사·연구기관이었고, 공업전습소를 그 산하에 두었다. 오늘날 국가기술표준원의 전신이기도 한 두 기관은 대한제국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공예 교육 및 연구를 수행했고, 그러한 활동이 한국의 근대 이후 공예의 발전양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앙시험소 건물은 현재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총 3권으로 구성된 이 시리즈는 ▴공업전습소와 중앙시험소에 관한 근대기 신문기사와 기관요강을 수록한 사료집(제1권) ▴중앙시험소의 조사보고 21건을 번역한 자료집(제2권) ▴한·중·일 3국의 공예교육을 비교연구한 전문가 논문집(제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권은 1906년부터 1944년까지 발행된 신문 7개(대한매일신보, 동아일보, 매일신보, 조선중앙일보, 중앙일보, 중외일보)에 게재된 관련 기사 290건과 두 기관의 요강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두 기관의 설립부터 교육, 연구과정 등 운영 전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면밀히 살펴볼 수 있다.

제2권은 중앙시험소의 '중앙시험소 보고'중 ‘도자와 옻칠공예’ 관련 주요 보고서 21건을 담았다. 특히 칠액(漆液) 채집 시험(1917), 조선 도자기 원료 조사(1915), 조선 도자기업 실태 조사(1915) 등 당시 조선의 공예 자원과 산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3권은 동시대 한국, 중국, 일본의 공예교육 발전과정을 비교한 전문가 논문 6편을 수록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근대 공예교육의 흐름과 특징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독자들은 사료집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로 공예교육과 연구를 주도했던 두 기관의 설립과 운영 전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중앙시험소의 도자와 옻칠공예 관련 주요 보고서들은 당시 조선의 자원 현황과 공예 산업 실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공업전습소와 중앙시험소 1·2·3'은 서울공예박물관 박물관가게(안내동 1층)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서울소재 공공도서관에서도 열람 가능하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번 사료집은 우리 근대 공예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향후 공예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서울공예박물관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근대 공예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연구활동을 지속하여 우리나라 전체 공예사를 새롭게 쓰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자기자
시민의 삶,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담은 뉴스를 가치있게 발굴하여 생생한 보도를 해나가는 한편, ‘기관 소식’이 아니라, ‘사람’을 중심에 바로 세우겠습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기뉴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