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액젓 ‘폐기물’로 김 황백화 치료제 만든다소재 개발해 특허 출원…애물단지 처리?질병 해결 ‘두 토끼’ 기대
충남도가 불법 투기나 방치 등으로 각종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액젓 찌꺼기를 활용해 김 황백화 예방?치료제 개발에 성공했다.
이 소재에 대한 현장 적용 시험을 통해 효과가 최종 입증되면, 고질적인 ‘폐기물’ 처리와 불치병에 가까운 김 황백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며 액젓 업체 처리 비용 절감, 양식어가 소득 증대 효과를 함께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액젓 폐기물을 이용한 해조류 양식 황백화 및 패류 양식 영양 결핍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 특허 출원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2일 밝혔다.
김장 등에 주로 사용하는 액젓(어간장)은 우리나라 전통 수산 발효식품이자 도내 대표 수산 가공품으로, 까나리나 멸치를 이용해 6개월 이상 장기간 발효해 만든다.
문제는 액젓을 만드는 과정에서 다량의 찌꺼기(일명 ‘뻑’)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액젓 찌꺼기 대부분은 전문 업체를 통해 해양 투기 등의 처리를 해야 하지만, 오랜 보관으로 고형화된 액젓 찌꺼기를 바다에 버리는 것은 사실상 산업폐기물을 버리는 행위와 같다며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이 반대하고 있다.
또 전문 업체를 통한 찌꺼기 운반?처리 비용이 1톤 당 20만 원으로 높고, 악취 문제 등으로 처리도 기피해 불법 투기?매립이나 방치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내 액젓 찌꺼기 발생량은 연간 1만 5000톤 안팎, 정상 처리 시 비용은 30억 원으로 계산된다.
이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도는 액젓 찌꺼기 성분 분석을 우선 실시했다.
시중 유통 제품과 마찬가지로, 액젓을 만들고 남은 찌꺼기 역시 무해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 결과, 액젓 찌꺼기 1g에는 암모늄염 61.350㎎/l, 아질산염 0.036㎎/l, 아질산염?질산염 0.389㎎/l, 인산염 5.848㎎/l, 규산염 0.196㎎/l, 용존무기질소(DIN) 61.739㎎/l가 포함돼 있었다.
도는 이 가운데 용존무기질소 함유량에 주목했다.
물 속에 녹아 있는 질소 화합물인 용존무기질소는 김 등 해조류 생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영양염류다.
김 등 해조류가 본래의 색깔을 잃고 노랗거나 하얗게 변하는, ‘해조류 영양실조’로도 불리는 황백화는 용존무기질소가 0.07㎎/l 이하일 때 주로 발생한다. 실제 지난 2018년산 김에서 황백화 현상이 심각했을 때 양식장 용존무기질소 농도는 0.008㎎/l에 불과했다.
이때 육상 기인 영양염류 공급을 위해 하굿둑 등의 농업용수를 바다로 긴급 방류를 요청하기도 했다.
도는 성분 분석 결과를 토대로 김 양식장에 액젓 찌꺼기를 투입할 경우, 용존무기질소 농도를 높이며 황백화를 예방하고, 치료 효과까지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도는 김 양식장에 액젓 찌꺼기가 오랫동안 잔류하며 용존무기질소 농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
액젓 찌꺼기를 그대로 투입하면 파도에 휩쓸려 흩어지며 효과가 없고, 대량 투입 시 부영양화로 또 다른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점을 감안했다.
도는 액젓 찌꺼기를 황토와 배합해 고형 소재를 만들었다.
또 이 고형 소재가 용존무기질소를 서서히 방출할 수 있도록 특수코팅 처리까지 했다.
이번 개발 소재는 2023년산 김 생산에 맞춰 현장 적용 시험을 실시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양식장 용존무기질소 농도와 김 생장 추이를 살피며, 최적의 배합 비율과 중량, 농도 등을 찾을 계획이다.
이와 함께 김과 생태가 비슷해 황백화가 발생하는 미역?다시마, 영양염류 부족으로 종종 폐사가 발생하는 굴 등 패류 양식장에도 적용 시험을 실시 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액젓 찌꺼기는 악취와 처리 비용, 환경단체 등의 반대 등으로 처리에 어려움을 겪으며 방치돼 왔을 뿐, 활용하는 방안까지는 누구도 생각지 못해 왔다”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인체에 무해한 액젓을 만들고 남은 찌꺼기는 해조류와 패류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염류가 풍부한 것으로 확인됐고, 이를 효과적으로 양식장이 투입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 만큼, 빠른 시일 내 상용화를 통해 폐기물 처리와 김 질병 예방?치료를 한꺼번에 해결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2년산 기준 도내 김 양식 어가는 269호, 면적은 3821㏊, 시설량은 6만 3994책이며, 생산액은 236억 9200만 원에 달했다. 그동안 도내 김 황백화 피해액은 2011년 269억 원, 2018년 298억 원 등이다. <저작권자 ⓒ 핫타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생태·환경 관련기사목록
|
경기뉴스 기사보기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