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는 12월 30일 오후 4시 광주광역시의회 5층 예결위 소회의실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광주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구축방향 연구-스마트콘텐츠를 중심으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광주의 스마트도시는 인프라 측면 이외에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생활에 필요한 스마트콘텐츠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면서, 4차산업혁명을 맞이하여 광주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지역개발연구소는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구성요소, 기대효과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국내외 스마트시티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광주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구축방향을 제시했다.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ㆍ정보통신기술 등을 융ㆍ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스마트시티가 건설되고 있는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사업으로 세종시와 부산시가 선정됐다.
세종스마트시티는 핵심가치로 ‘행복한 도시’, ‘지속가능한 도시’, ‘창조적 기회’를 설정했고, 부산 에코델타시티는 핵심 가치로 ‘프로세스 혁신’, ‘기술 혁신’, ‘민간참여 혁신’을 설정했다. 해외의 경우, 타이베이는 스마트공공주거서비스, 스마트가로등, 스마트긴급구조서비스, 스마트재활용, 스마트실시간화장실 청결도 평가 등이, 코펜하겐은 스마트가로등, 스마트주차, 스마트싸이클링, 스마트대기질 관리 등에 시민체감형 스마트기술이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광주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구축방향을 안전, 정치,행정,시민참여, 에너지,자원,환경, 제조업,스타트업, 교통, 복지, 교육, 문화,예술,관광 영역 등으로 구분하여 스마트콘텐츠 등으로는 인공지능 화재예측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반 지역 재난,재해 예측 지도, 방범재난 통합관리 체계, 싱크홀 탐지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참여형 디지털 시민민주주의 플랫폼, 챗봇 기반의 맞춤형 행정서비스, 음식물쓰레기 AIoT 스마트 처리시스템, 미세먼지 측정 및 분석 플랫폼,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폰 기반 AI 대형폐기물 처리시스템, 에코 스마트 상수도 시스템, AI기반 상권분석시스템, 지능형 공장설립 지원 서비스, 스마트버스 정류장, 스마트 가로등, 스마트 신호등, 블록체인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어르신 원격돌봄서비스, 홀로그램을 활용한 교육,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관광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식품안전시스템 등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 용역을 제안한 박수기 의원, 심창욱 의원, 채은지 의원은 “인공지능 선도도시로서 광주는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를 만들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구비하고 있다”면서 “의정활동을 통해 향후에도 시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콘텐츠 또는 스마트서비스 등이 광주시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핫타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정치·의정 관련기사목록
|
경기뉴스 기사보기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