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타임뉴스

아산시, 벼 도열병 등 발병·확산 우려에 적극적인 전후 예찰과 적기 방제 당부

정 훈 기자 | 기사입력 2022/08/10 [06:41]

아산시, 벼 도열병 등 발병·확산 우려에 적극적인 전후 예찰과 적기 방제 당부

정 훈 기자 | 입력 : 2022/08/10 [06:41]

아산시가 벼 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 등의 발병 확산 우려가 커짐에 따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적극적인 예찰과 적기 방제 당부에 나섰다.

 

최근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고 벼 출수기(이삭패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평소 질소질 비료를 과다 살포한 논과 비료가 중복 살포된 논 등을 중심으로 벼 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 등의 발병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벼 도열병은 생육기 전반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병으로 잎에 방추형 병반을 형성하며, 병반이 진전되면 포기 전체가 붉은빛을 띠고 생장이 억제된다. 잎도열병 발병 초기에 방제가 지연되면 출수기 전후에 이삭이나, 이삭가지 등으로 전염돼 자칫 쌀 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잎집무늬마름병은 질소비료 과용, 과번무 등으로 벼 군락 내부의 통풍 불량과 벼 포기 사이의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발병이 많아진다. 잎집에 뜨거운 물에 데친 것 같은 수침상 타원형 병반을 형성하며, 볏대를 무르게 해 도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출수기 전후에 나타날 수 있는 벼 병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 예찰과 방제가 중요하며, 지속적인 예찰을 통해 발병 포장은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해야 한다.

 

특히, 방제 시기가 중요한 만큼 강우가 지속되면 비가 그친 틈을 이용해 방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약제 살포 후 약 3~4시간 정도 지나면 벼 잎이 살포된 약제를 대부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2차 방제를 할 경우에는 1차 방제에 사용한 약제와 다른 계열의 약제를 사용해 약제 저항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농업기술과 병해충담당자는 “해맑은벼 등 도열병에 약한 품종의 경우 발병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사전방제를 반드시 해야 하며, 출수 후에도 추가 방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경기뉴스 기사보기